메인 콘텐츠로 이동

역사

역사
History

1979년 8월 경희대의 몇 기독 의대생, 치대생, 한의대생들이 의대생들만의 기독 모임의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, 이 일을 전국의 의, 치, 한의대 기독학생회 및 의대생들에게 알리기 시작하였다. 기도와 편지의 열매로 모인 69명의 학생들이 1980년 2월 4일부터 8일까지 제1회 CMF전국수련회를 가졌고, 배도선 선교사의 누가복음 말씀과 송인규 당시 IVF 총무의 강의로 크게 은혜를 받고 변화되었다. 참석자들은 이 모임이 계속 운동체로서 유지되고 확장되도록 뜻을 모았으며, 이 운동의 이름은 영국의 CMF와 같이 한국의 CMF로 명명하게 되었다.

한국 CMF는 여름과 겨울의 수련회와 각 캠퍼스의 모임을 중심으로 점차 확장되어 갔으며, 1990년대 국내 신생 의대와 간호대의 설립을 계기로 그 사역의 영역이 간호대까지 확장되어 국내 기독의료인의 대표적인 공동체로 성장하게 되었다. 이 순간에도 CMF Spirit을 고백하는 누가들과 작은 누가들이 의료사회에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고백하며 각자의 삶의 영역에서 선한 싸움을 경주하고 있다.

1980
  • 제1회 학생수련회 개최
  • CMF라는 단체로 공식 출발
  • 회보 (왕국과 의사) 발간
1982
  • CMF의 학사모임을 누가회로 명하고 ‘한국누가회’ 발족
1985
  • CMF 출신 이정희 전임간사와 윤채진 협동간사의 사역
  • 제1회 전국 대학 지도자 훈련과정(LTC) 개최
  • 독립된 사무실 ‘누가의 집’ 운영 시작
1988
  • 전국 6개 지역에 ‘지역누가회’ 발족
1990
  • 제1회 동남아 4개국 단기 해외의료선교, 첫 해외의료선교사 파송
1993
  • ‘동서의학의 만남’을 주제로 제1회 학술세미나 개최
1997
  • 청량리 다일공동체의 진료 및 외국인 노동자의 진료를 위한 희년 진료소 시작
  • 르완다 난민사역을 시작으로 Medical NGO인 ‘GLOBAL CARE’ 태동
  • 성산생명의료윤리연구소 창립, ‘밝은 의료사회를 위한 누가들의 모임’ 발족
  • 한국누가회 홈페이지(www.kcmf.org) 개설과 CMP(한국누가회 출판부) 설립
  • 전문사역의 활성화 및 학생과 누가의 영적인 요구로 누가회 구조를 실행위원회 체제로 바꿈
2000
  • 20주년 기념사업으로 학원ㆍ학사연합수련회 개최
2006
  • 각 지역누가회와 사역부서의 재정을 독립체제로 운영하고 회원제 도입
  • 누가출신의 전임 사무총장 사역 시작
2008
  • 8개 지역누가회와 3개 전문사역부서 조직으로 사역의 장을 확대
  • 리더십 포럼 시작
  • 30주년 기념사업 위원회 발족
2009
  • 누가의 집을 사당역에서 서울역으로 이사
  • 성공회와 누가회 협력 체결, 다시서기 사역 시작
  • 선교부 파송단체화
  • 누가회 재정시스템 변경 – 나눔셈 시스템 (비영리 종합관리프로그램을 통한 회계 업무처리)
  • 전략적 계획위원회를 통한 누가회 중장기 발전 전략 수립
2010
  • 누가회 행정시스템 인트라넷 시스템 도입
  • 30주년 기념사업으로 학원·학사연합수련회 개최
  • 변화관리위원회를 통한 누가회 정관개정 및 조직개편
2011
  • 누가들의 세계 복간(Vol. 177)
  • 제1회 누가축제(체육제)
  • 누가연구원 발족
2012
  • 한국누가회 30주년사 편찬
  • 안수현장학회 설립
  • 제2회 누가축제(합창제)
  • 누가연구원 정기포럼
2013
  • 누가연구원 정기포럼
  • 가정사역위원회 발족
2015
  • 누가의 집을 서울역에서 아현동으로 이사
2016
  • 제5회 누가연구원 정기포럼
  • 제2회 우리가족 캠핑 (누가가족 글램핑)
2017
  • 제3회 우리가족 캠핑 (누가가족 글램핑)
2018
  • 누가의 집을 아현동에서 구의동 아차산역으로 이사
  • 누가훈련원 개설
  • CMF 전국학생수련회 외국학생 참석(9명)
2019
  • 한국누가회 ICMDA 활동 활성화
  • CMF 전국학생수련회 외국학생 참석(8명)
  • 누가훈련원 1기 개원